본문 바로가기

2. 국내 기업/3. KINX

KINX 주담 통화내용 정리 (2021.09.08) Q1. 현재 대형 IDC 업체들이 한국에 많이 진출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영향은 없을지? 답변: 앞으로 어찌될지는 모르지만 당분간은 국내에서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음. 그 이유는 해외 대비 국내의 '상면'이라고 하는 데이터 센터 공간에 대한 가격이 한 절반 밖에 되지 않음. 또한 국내 통신 3사가 회선을 독과점하고 있다보니, 대형 IDC 업체들의 회선 소싱 비용이 굉장히 높고. 회선을 구축하는데도 시간이 오래 걸림. 즉, 대형 IDC 업체들의 회선 소싱 비용과 회선 구축 시간 문제 때문에, 당장은 플레이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알고 있음. Q2. SK 브로드밴드에서도 중립 IDC를 구축한다고 하는데, 그것은 영향이 없을지? 답변: 중립 IDC망 구축은 제한적으로 할 것 같음. 왜냐하면, SK의 주.. 더보기
KINX 주담 통화 내용 정리 (2021.08.26) Q1. 사업보고서를 보니 최근(2021.06)에 매출원가율이 상승했는데 이에 대한 이유는? 답변: 가장 큰 이유는, 저희 자회사에 일회성 상품 매출이 있다. 자회사의 고객에게 자회사가 서버나 스토리지 같은 것을 대신 구매해서 납품을 해주는 것인데 그게 한 25억 정도된다. 그 매출은 마진이 굉장히 적기 때문에 매출원가율이 높게 잡혔다. 하지만 이 납품 매출은 일회성이다. Q2. 최근에 대형 IDC 업체들도 많이 한국에 진출하는 것 같은데, 경쟁구도는 어떻게 되나? 답변: 이 부분은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 해외 업체들이 국내에서 데이터 센터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하기 쉽지 않은 환경이다. 자세한 이유는 다음에 전화하면 알려주겠다. 내일 본점이 이사하는 날이라 정신이 없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