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국내 기업/1.NICE평가정보

신용평가(Credit Rating)과 신용조회(Credit Bureau)의 차이

많은 사람들이 신용평가 회사와 신용조회 회사가 하는 업무를 헷갈려한다. 신용평가사는 대표적으로 'Standard and Poors', 'Moodys', 'Fitch Ratings' 등이 있으며, 기업과 그 기업의 부채 발행으로 인한 건전성을 평가하는 기관이라고 보면 된다. 신용평가는 기업이 지니고 있는 부채의 질을 평가하여, 투자자들에게 해당 기업이 투자하기에 얼마나 위험한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한다. 특히, 앞서 말한 대표 신용평가사 (S&P, Moodys, Fitch Rating)들은 국가에 대한 신용 평가도 수행한다.

 

* 신용평가사가 국가에 대한 신용평가를 수행한 예시: 아래 첨부한 파일과 같이 유럽이 재정위기를 겪을 때, 글로벌 신용평가사 (S&P, Moodys, Fitch Rating)들이 유로존 회원국의 신용등급을 강등하면서 신용경색이 발생한 적이 있으며, 이로 인해 유로존에서 글로벌 신용평가사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고조되어 왔다.

지경포-제12-06호.pdf
0.74MB

 

 

* 신용평가사가 기업에 대한 신용평가를 수행한 예시: 본 예시는 잘못 신용평가를 수행한 예시인데, 글로벌 신용평가사들이 주택담보대출 파생상품(서브프라임)에 대한 위험도를 잘못 평가하면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게 된 전례가 있다.

서브프라임 사태에 대한 신용평가사들의 책임론 확산.pdf
0.50MB

국내에서는 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 NICE신용평가, 서울신용평가 네군데가 허가되어 영업을 하고 있으며, 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 NICE신용평가 세 업체가 약 99%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신용조회 회사는 신용정보 회사로도 불리며 대표적인 업체는 'Experian', 'Equifax', 'TransUnion' 이다. 신용정보 회사는 돈을 빌려주려는 사람 혹은 기관 (예비 채권자?)에게 돈을 빌리려는 사람 혹은 기관(예비 채무자?)의 신용보고서와 신용 점수를 제공한다. 이렇게 소비자 (예비 채무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배포하는 기관을 신용정보 회사라고 한다. 

국내 신용정보 회사는 NICE 평가정보, SCI평가정보, 나이스디앤비, 이크레더블 등이 있으며 이 중 나이스디앤비와 이크레더블은 특히 기업신용정보 사업에 특화된 업체이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만약 투자자가 어떤 기업의 채권에 투자하고 싶은데 해당 기업의 부실 위험을 알고 싶다면, 신용평가사 (S&P, Moodys, Fitch Rating)에서 제공하는 신용평가 정보를 필요로 함.

- 특정 개인(A)이 은행에서 돈을 빌리거나 신용카드를 개설할 때, 대출 혹은 발급을 진행하는 기관은 신용정보 회사에서 제공하는 A의 신용정보를 이용함.

- 특정 업체(B)가 은행에서 돈을 빌리거나 협력 업체와 어음 거래등을 하려 할때, 거래 기관 (은행 혹은 협력 업체)은 신용정보 회사에서 제공하는 B의 신용정보를 이용함.

 

추가적으로 신용평가와 신용조회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에 적혀 있다. 

 

https://www.investopedia.com/ask/answers/110614/whats-difference-between-credit-rating-agency-and-credit-bureau.asp

 

Credit Rating Agency vs. Credit Bureau: What's the Difference?

Credit rating agencies rate the risk of corporations and their debt while credit bureaus provide credit reports and scores on individuals.

www.investopedia.com

'2. 국내 기업 > 1.NICE평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NICE평가정보 기업 분석  (0) 2021.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