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비즈니스 모델 및 경쟁사 분석
NICE평가정보는 개인CB와 기업CB를 모두 수행하는 업체이다. 채권추심도 수행하고 있다.
NICE평가정보의 매출현황을 보면 대부분의 매출이 개인CB 사업에서 나오고 있으며, 최근 기업정보 사업의 매출 비중이 점진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최근 TCB 시장이 커지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생각된다.
가. 기업CB (기업정보사업)
기업정보사업은 기업관련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업의 '체력'을 분석하고 이를 정보화하는 사업이며, 신규 업체의 진입 장벽이 높은 산업이다. 경쟁력의 원천인 데이터를 단기간에 축적하기가 쉽지 않을뿐더러, 고객들의 기존 사업자에 대한 충성도가 높기 때문이다. 기업CB 시장은 대한민국 경제가 성숙함에 따라 급격한 매출 증가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신규 업체의 진입이 어렵다는 점과, 대한민국 경제의 점진적인 성장을 고려할 때, 안정적인 매출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최근 정부에서 TCB 사업을 활성화하려는 기조 또한 기업CB의 안정적인 매출 증가를 뒷받침 해줄 것으로 생각된다.
(매출액은 2017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이나, 영업이익률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이 부분은 주담과 통화를 통해 이유를 확인해봐야할 듯 하다.)
나. 개인CB
은행에서 개인에게 신용 대출을 진행할 때, 대출 심사를 위해 신용조회를 하게 된다. 이 때, 개인의 금융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점수화하여 나타내는 사업 (신용점수)을 개인CB로 이해하면 쉬울 것이다. 이러한 개인CB 업체들 중 NICE평가정보는 독보적인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 저금리 기조가 계속된다면 개인들의 신용거래 빈도나 규모는 계속 증가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기 때문에, 해당 사업의 전망은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또한 정부에서 추진하는 마이데이터 사업으로 인한 수혜도 볼 것으로 판단된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들을 참고하시길..
(마이데이터 사업자가 잘될수록 'Nice평가정보' 이득 (tistory.com))
(나이스평가정보, 마이데이터 영향 개인CB 수요 증가로 수혜 전망 (skyedaily.com))
어쨌든, 이러한 이유로 개인CB 사업의 전망은 밝은 편이며 실제로 아래 그림과 같이 매출과 함께 영업 이익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다. 경쟁사
경쟁사를 살펴보면, 코리아크레딧뷰로 (KCB), SCI평가정보, 한국기업데이터 (KED, Korea Enterprise Data), 나이스디앤비, 이크레더블 등이 있다. KCB는 카카오페이에서 무료 신용조회를 할 때, 신용 점수를 제공하는 업체이다. 주로 개인CB에 집중해서 영업을 하고 있으며, 신용위험관리, 모형개발, 가계금융연구 등을 주 사업으로 진행중이다. 연간 매출액은 2020년 기준 1100억정도로, 개인CB 업체 중 매출액 기준 25% 정도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기업이다.
SCI평가정보는 개인신용조회, 기업신용평가, 채권추심, 신용조사 등 다양한 사업 모델을 구축하고 있으나 매출액이나 점유율이 그리 높은 업체는 아니다. 2020년 기준 매출액이 470억 정도이며, 개인CB 사업에서 점유율은 7%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한국기업데이터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기업CB에 집중해서 영업을 하는 회사이다. 2020년 기준 매출액이 980억으로, 기업CB 업체 중 점유율이 33.7%로 1위이며, 현재 NICE평가정보를 근소하게 앞서고 있다.
그 밖에 기업CB에 집중해서 영업을 하고 있는 업체는 나이스디앤비와 이크레더블이 있으며, 해당 기업이 각각 점유율을 14%, 20% 정도로 영업을 하고 있다.
라. IR Highlight
(1)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
개인CB 사업은 성장성이 높으나 경기에 민감하다는 단점이 있고, 기업CB는 성장성은 다소 낮으나 성숙기에 접어 들었기 때문에 경기 변동에 대한 민감도가 높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2) 핀테크 기업에 대한 서비스 확대
아래 그림과 같이 다양한 핀테크 기업에 대해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3) 풍부한 현금 흐름 & 주주 환원 정책
신용조회사업의 특성상 CAPEX 값이 작기 때문에 잉여현금흐름이 풍부하다. 아래 그림에서는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는데, 사업보고서를 보면 2017년 이후 매년 CAPEX도 감소 추세이기 때문에 잉여현금흐름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풍부한 잉여현금흐름은 주주환원을 위해 사용되었는데, 아래 그림과 같이 2015년 이후 매년 배당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2. 국내 기업 > 1.NICE평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용평가(Credit Rating)과 신용조회(Credit Bureau)의 차이 (0) | 2021.12.14 |
---|